스프링부트 application.yml VS application.properties
이번에는 처음에 스프링부트를 접하면서 application.yml로 설정해놓고 배웠었기에 쭉 사용해왔는데 이번에 기존의application.properties로 설정된 프로젝트를 보면서 느낀 둘의 차이점과 장단점을 간단하게 비교해보려고 한다.
우선, 스프링부트로 프로젝트를 만들면 기존에 application.properties로 돼있는데 이를 application.yml로 바꾸기 위해서는 Refactor->Rename으로 뒷부분을 yml로 바꿔주면 스프링부트에서 자동으로 yml 형식으로 호환되게끔 바꿔준다.

사용 방법


# - 주석처리는 #으로 한 줄을 주석으로 처리할 수 있다.
리스트 작성 방법

리스트로 표현할 때 yml의 경우 위의 사진에서처럼 -로 간단하게 표현이 가능하다.
properties와 비교했을 때 yml의 장점
- 일단, 한 눈에 보기에도 가독성이 좋다
- 불필요한 코드의 반복을 피할 수 있다
- 계층 구조로 이해하기 쉽고 쓰기 편하다
참조
https://www.baeldung.com/spring-boot-yaml-vs-properties
'웹개발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 Boot] 스프링부트 Http Method 매핑 방법(GETvsPOST) (0) | 2021.08.27 |
---|---|
[Spring Boot] 스프링부트 로그 관리 logback과 Slf4j (0) | 2021.08.14 |
Spring MVC 패턴 패키지 구조 (0) | 2021.06.28 |
댓글